Loading...

다온네

영화 남한산성 19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시대적 배경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다온아빠
작성일 2017.09.13 10:48
분류 정보
12,125 조회

본문

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.
 청의 대군이 공격해오자 임금과 조정은 적을 피해 남한산성으로 숨어든다.
 추위와 굶주림, 절대적인 군사적 열세 속 청군에 완전히 포위된 상황,
 대신들의 의견 또한 첨예하게 맞선다.
 
 순간의 치욕을 견디고 나라와 백성을 지켜야 한다는 이조판서 ‘최명길’(이병헌)과
 청의 치욕스런 공격에 끝까지 맞서 싸워 대의를 지켜야 한다는 예조판서 ‘김상헌’(김윤석).
 그 사이에서 ‘인조’(박해일)의 번민은 깊어지고, 청의 무리한 요구와 압박은 더욱 거세지는데...
 
 나아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는 고립무원의 남한산성
 나라의 운명이 그곳에 갇혔다!







1636년 병자호란의 중심 무대가 된 장소 남한산성


영화의 배경이 되는 병자호란에 대해 알아봅니다.


댓글 0
전체 972 / 66 페이지
게시물이 없습니다.
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/새댓글
전체 검색
회원가입